반응형
- 트랜스 방식과 스위칭 방식 비교IT aboda지금까지 트랜스 방식과 스위칭 방식의 AC/DC 변환과, 그 동작 및 회로의 개요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번에는 두가지 방식의 비교 및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회로 구성을 비교하면, 변환 방식에서 스위칭 방식의 회로가 조금 복잡합니다. 또한, 스위칭 방식은 반드시 제어 회로 (기본적으로 IC)가 필요합니다. 사용하는 부품은 비슷하지만, 스위칭 방식이 고내압 부품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부분은 비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가장 큰 차이점은 효율이며, 체적 / 중량에 있어서도 스위칭 방식이 유리합니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최근 특히 휴대기기의 충전용 AC 어댑터가 작고 가벼워졌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그림 11은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AC 어댑터이며, 왼쪽은 트랜스 방식, 오른..
- 2022-12-20 12:45:22
- 스위칭 방식이란?IT aboda스위칭 방식이란 ? 그림 1는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는 AC/DC 변환 방식입니다. 스위칭 방식은 먼저 100VAC를 브릿지 다이오드로 정류합니다. 트랜스 방식에서는 먼저 트랜스를 통해 AC/AC 강압을 하지만, 스위칭 방식은 높은 상태의 AC 전압을 그대로 정류합니다. 따라서, 브릿지 다이오드는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사양의 제품이 필요합니다. 100VAC는 피크치로 140V 정도가 됩니다. 다음으로 콘덴서를 사용하여 평활합니다. 이 역시 고전압 사양의 제품을 사용합니다. 그 다음, 스위칭 소자를 ON / OFF하여 높은 DC 전압을 초핑 (chopping)하고, 고주파 트랜스를 통해 에너지를 2차측으로 전달합니다. 이 때의 ON / OFF 주파수, 즉 스위칭 주파수는 입력 AC의 주파수인 50 / 60..
- 2022-12-16 16:48:58
- AC DC 트랜스 방식IT aboda트랜스 방식이란 AC에서 DC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로, 트랜스포머 즉 변압기를 메인으로 사용한 방식입니다. 그림 1은 트랜스 방식의 일반적인 구성입니다. 예를 들어, 입력전압을 100VAC라고 가정하고, 이 100VAC 전압을 트랜스로 원하는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AC 전압으로 강압 (변압)합니다. 이 부분까지는 AC/AC 변환입니다. 변압치 (트랜스의 2차측에 발생하는 강압치)는 트랜스의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입출력간 절연이 필요한 경우에는 트랜스를 이용하여 절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압된 AC 전압은 브릿지 다이오드를 통해 DC로 변환되고, 콘덴서로 평활하여 리플이 작은 DC 전압으로 변환합니다. 정류된 DC 전압은 AC의 피크 전압 (AC×√2)에서 다..
- 2022-12-16 14:35:12
반응형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