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절연형 플라이백 컨버터 회로 설계 : 주요 부품 선정 – IC의 VCC 관련IT aboda이번 편에서는 본 설계 예제에 채용된 스위칭 전원용 제어 IC BM1P061FJ의 전원전압 VCC를 생성하는 회로가 되는 다이오드 D5와 콘덴서 C2, 그리고 서지 제한용 저항 R9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이 회로의 목적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IC는 자체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전원 IC는 입력전압을 자체 전원으로서 이용합니다. 단, 대부분의 경우 IC의 전원 pin에 인가할 수 있는 전원은 DC 전압이며, 특별히 고내압 제품일 경우에도 60~80VDC 정도로, 40VDC 이하가 일반적입니다. 이 AC/DC 컨버터 설계에서, 입력은 85~264VAC를 허용하는 사양이므로, 1차측의 정류 전압은 400VDC 이상이며, 이것을 그대로 전원 IC의 전원전..
- 2022-12-29 12:21:12
- 플라이백 방식이란?IT aboda플라이백 방식은 100W 정도까지의 스위칭 전원에 자주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플라이백 방식에는 자려형 (自励型) RCC (Ringing Choke Converter), 타려형 (他励型) PWM 타입, RCC에 공진 기술을 이용한 의사 공진 타입의 3종류가 있습니다. RCC 타입은 시스템의 보조 전원 등, 주로 소전력 용도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PWM 타입에 비해 설계가 다소 복잡하고, 최근 PWM 타입 MOSFET 내장 IC가 보급됨에 따라 소전력 용도에서는 PWM 타입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의사 공진 타입은 전용 IC로 제어하는데, PWM 타입보다 Low noise이며 손실이 작으므로, 일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AC/DC 변환에서는 스위칭 방식의 AC/DC 변환에 사용되는 경..
- 2022-12-20 14:14:50
- AC DC 트랜스 방식IT aboda트랜스 방식이란 AC에서 DC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로, 트랜스포머 즉 변압기를 메인으로 사용한 방식입니다. 그림 1은 트랜스 방식의 일반적인 구성입니다. 예를 들어, 입력전압을 100VAC라고 가정하고, 이 100VAC 전압을 트랜스로 원하는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AC 전압으로 강압 (변압)합니다. 이 부분까지는 AC/AC 변환입니다. 변압치 (트랜스의 2차측에 발생하는 강압치)는 트랜스의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입출력간 절연이 필요한 경우에는 트랜스를 이용하여 절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압된 AC 전압은 브릿지 다이오드를 통해 DC로 변환되고, 콘덴서로 평활하여 리플이 작은 DC 전압으로 변환합니다. 정류된 DC 전압은 AC의 피크 전압 (AC×√2)에서 다..
- 2022-12-16 14:35:12
반응형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