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활 후의 DC/DC 변환 (안정화) 방식2022년 12월 20일
- IT aboda
- 작성자
- 2022.12.20.:21
728x90반응형SMALL이전 포스팅에서, 트랜스 방식의 AC/DC 변환은
AC – Low AC – 정류 / 평활 (DC) – [옵션 : 안정화 DC]
그리고 스위칭 방식의 AC/DC 변환은
AC – 정류 / 평활 (DC) – 안정화 DC (AC – 정류 / 평활 – 안정화 DC)
와 같은 순서로 변환이 진행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에는 각 방식에 있어서 상기 청색 부분에 해당하는
정류 / 평활에 의해 생성된 DC 전압을 원하는 안정화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스위칭 방식의 AC/DC 변환에 관해서는 이 공정을 「DC를 스위칭하여 AC로 변환하고, 그것을 다시 정류 / 평활하여 DC로 변환」이라고 표현해왔습니다.그러나, 이 자체가 스위칭 DC/DC 변환이므로, 앞으로는 간략하게 「스위칭 DC/DC 변환」이라고 하겠습니다.
스위칭 DC/DC 변환과 대비되는 방식으로는 리니어 DC/DC 변환이 있습니다.
DC/DC라고 하면 스위칭이라고 인식하시는 분이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DC를 DC로 변환하는 의미이며, 그 중에 스위칭과 리니어라는 방식이 있다는 전제하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2 : 트랜스 방식의 DC/DC 변환 부분 그림 13 : 스위칭 방식의 DC/DC 변환 부분
그림 12 및 13은 각 AC/DC 변환 방식의 회로입니다.원으로 표시한 부분이 DC 전압을 원하는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블록입니다.
실제 사용 시, 여기에서 안정되고 정밀도가 높은 DC 전압으로 변환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전자회로의 전원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키 포인트
트랜스 방식은 안정화 DC/DC를 필요에 따라 추가, 스위칭 방식은 제어 회로가 동반되므로 DC 출력은 안정화 완료.728x90반응형LIST'전기 전자 > AC.DC 기초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ck (강압, 비절연) 방식이란? (0) 2022.12.20 포워드 방식이란? (0) 2022.12.20 플라이백 방식이란? (0) 2022.12.20 리니어 레귤레이터 방식이란? (0) 2022.12.20 트랜스 방식과 스위칭 방식 비교 (0) 2022.12.20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