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 티스토리 홈
  • 프로필사진
    IT aboda
  • 방명록
  • 공지사항
  • 태그
  • 블로그 관리
  • 글 작성
IT aboda
  • 프로필사진
    IT aboda
    • 분류 전체보기 (77)
      • 전기 전자 (33)
        • AC.DC 기초편 (17)
        • AC.DC 설계편 (16)
        • AC.DC 평가편 (0)
      • 전기이론 (10)
        • 회로이론 (10)
      • AI뉴스 (4)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2024년 08월 19일
        • IT aboda
        • 작성자
        • 2024.08.19.:13
        728x90
        반응형
        SMALL

        오늘은 전기 회로 이론 중 전달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달함수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 전달함수란 ?

          ◈ 어떤 입력에 대하여 출력을 발생시키는 과정, 어떤 특성을 전달한다는 의미이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전달함수

          ◈ 어떤 입력값으로 목표로 하는 출력값을 내는 것이 목적이므로 전달함수는 제어계라고도 한다.

             X(s) × G(s) = Y(s) 에서 입력 X(s)에 전달함수 G(s)를 곱하여 출력 Y(s)가 된다고 하자.

         

            라플라스로 변환하였기 때문에 곱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라플라스 형태로 표현되었을

            때 전달함수라고 하고 라플라스 형태가 아니면 전달함수가 아니다.

         

        ▣ 전달함수 정의

          ⊙ 초기값을 "0"으로 한 상태에서 입력신호와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비

             ※ 라플라스는 "0" → "∞"까지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 임펄스 입력에 대한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 δ(t) = 1

         Y(s) = X(s) · G(s)

          ⊙ 전달함수의 분모 = 0 : 특성방정식

        ​

        가. 제어요소의 전달함수

          ▣ 비례요소 : G(s) = K, ▣ 미분요소 : G(s) = S, ▣ 적분요소 G(s) = 1/S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지연요소

          ▣ 부동작 요소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계단함수, 부동작 요소
        나. 비례요소

        ▣ 비례요소는 함수에 상수배한 것이다. "K"한 것이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비례요소

        다. 미분요소

          ▣ 미분의 라플라스 변환은 "S"이고 전달함수도 "S"가 된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미분요소

        ▣ 적분의 라플라스 변환은 "1/S"이고 전달함수도 "1/S"가 된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적분요소
        마. 1차 지연요소

        ▣ 최종값이 일정 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함수 형태이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1차지연요소

           ◈ 실제 회로의 예를 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1차 지연요소 1

        바. 2차 지연요소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 제동비 : ζ =0 무제동, 0 < ζ < 1 부족제동, ζ = 임계제동, ζ > 1 과제동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제동비

        ▣ 전기회로에서 2차 지연 요소를 알아 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2차 지연요소

          ◈ 라플라스 변환하여 전달함수를 구해 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 전류출력을 구하면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사. 부동작 요소 : Dead time

        ▣ 부동작 요소는 u(t) 함수의 OFF 상태를 말한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전기회로에서 전달함수】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주어진 조건의 전달함수】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1] 전압비는 임피던스 비 이다.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2] R-C회로의 1차 지연회로의 예를 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3] L-C회로의 2차 지연회로의 예를 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4] R-L회로의 1차 지연 미분 회로의 예를 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5] R-L-C 회로의 전달함수를 구해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6] R-L-C 회로의 전달함수를 구해보자

         
        전기 회로 이론 : 전달함수

        [예7] C-C 회로의 전달함수를 구해보자.

         

        [예8] R-C 회로의 전달함수를 구해보자.

        ▣ 전압입력에 대한 전류 출력의 전달함수를 구해 보자.

         

        [예9] 미분 방정식의 전달함수를 알아 보자.

        [예10] 전달함수에서 원래 방정식 찾기

        ▣ 다음 식의 전달함수를 알아 보자.

        2. 보상회로

          ▣ 보상회로란 ? 제어계에 순방향 전달함수에 보상요소를 삽입하여 계 전체의 특성을 개선

              하는 회로를 말한다.

             ※ 수동소자의 연결에 따른 진상전류, 지상전류의 발생을 이용한 개념이다.

        진상, 지상 회로

        [예1] 다음 회로의 위상 관계(보상관계)를 알아 보자.

        R-C회로

         ▣ 위 회로는 출력이 입력에 비해 위상이 빠르다. (진상보상 회로)

          ◈ 입력은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져 둘의 합성 위상이 되고 출력은 콘덴서로만 이루어져

              저항보다 위상이 90˚ 빠르다.

        ​

        [예2] 다음 회로의 위상 관계(보상관계)를 알아 보자.

        C-R회로

         ▣ 위 회로는 출력이 입력에 비해 위상이 늦다. (지상보상 회로)

           ◈ 입력은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져 둘의 합성 위상이 되고 출력은 저항만으로 이루어져

               콘덴서보다 위상이 90˚ 늦다.

        ​

        [예3] 다음 R-L회로의 위상 관계(보상관계)를 알아 보자.

        LC회로

          ▣ 위 회로는 출력이 입력에 비해 위상이 빠르다. (진상보상 회로)

          ◈ 입력은 저항과 리액터로 이루어져 둘의 합성 위상이 되고 출력은 저항만으로 이루어져

              리액터보다 위상이 90˚ 빠르다.

        [예4] 다음 R-C-R 회로의 위상 관계(보상관계)를 알아 보자.

        R-C-R 회로

          ▣ 전달함수를 구해 보자.

          ◈ 이 때, a > b 이면, 출력이 입력보다 앞선다. (진상 보상 회로)

        [예5] 다음 R-R-C 회로의 위상 관계(보상관계)를 알아 보자.

        R-R-C회로

        ▣ 전달함수를 구해 보자.

        [예6] 다음 R-C-R-C 회로의 위상 관계(보상관계)를 알아 보자.

        R-C-R-C회로

        ▣ 전달함수를 구해 보자.

            ▣ 위 회로는 진,지상보상회로이다.

        728x90
        반응형
        LIST

        '전기이론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하특성(정전류 특성)이란 ?  (0) 2024.08.22
        동기발전기의 출력 P [W]  (0) 2024.08.21
        저항 (R : Resistance) - 회로이론 제2강  (0) 2024.08.16
        전류와 전압 : 회로이론 제1강  (0) 2024.08.15
        과도현상 (시정수, 시상수, 특성근)  (0) 2024.08.14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댓글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